분류 전체보기 104

Beatmania IIDX 홈케이드

투덱을 집에서 하면 얼마나 좋을까..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언제나 품어온 꿈이었다.시대가 변하면서 기체 사양도 조금씩 바뀌고 홈케이드 설계도 계속 바뀌었다.그렇게 조금씩 쌓아온 게 이제야 완벽히 완성되었다. 오차는 없다. 홈케란 타협의 영역이다. 타협할 수 있어야 홈케를 만들 수 있다.하지만 최대한 타협하지 않고 완벽에 가깝게 만든 세팅이 현재다.  먼저 투덱 기체 측정 자료가 필요하다.Arcade cab dimensions | beatmania IIDX guide [iidx.org] Arcade cab dimensionsiidx.org - a modern guide for beatmania IIDX in Englishiidx.org   다음은 필자가 구현한 사양이다. 컨트롤러: PHOENI..

리듬게임 2023.12.25

DJMAX Repect V Right Alt + Space 문제

예전부터 불편했던 건데 더키 원 후지의 기능을 적다 생각나서 따로 적어본다. DJMAX Repect V 에서만 일어나는 문제로, Right Alt(한영키) + Space를 함께 누르면 둘 중 한 쪽은 인식되지 않는다. 즉, 동시입력이 무시된다는 것인데 이때 먼저 누른 한 쪽만 입력 된다. 정확히는 일반 키와 RSide를 인식 받을 때의 경우로 이때 시스템 키를 좀 다르게 받는 것 같다. 내가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타유저와 키배치가 많이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로 보인다. 다른 유저들의 경우 스페이스와 우알트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데도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해결한 방법은 개인적으로 우알트, 한영키를 사용하지 않고 IBM, DOS 방식의 Shift + Space를 쓰기 때문에 나는 우알트를 Ctrl..

리듬게임 2023.12.23

TV, PC 모드 vs. 게임 모드

심지어 필자가 사용하는 2011년 TV도 PC 모드와 게임 모드를 지원한다. 그렇다면 이런 의문이 드는데 각 모드에는 무슨 차이가 있으며 어떤 때에 써야 잘 맞을까? - PC 모드 PC 모드는 글씨의 가독성이 더 좋아진다. 그리고 각종 TV 효과, 필터들을 대부분 끈다. - 게임 모드 제조사, 모델마다 천차만별이지만 PC 모드 보다 레이턴시와 잔상이 매우 덜하다. 결론은 웬만큼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기능들을 이용하도록 하자. 즉, 게임 모드처럼 제조사에서 특정한 상황에 쓰도록 만든 모드들이 있다면 그걸 쓰라는 것이다. 특히 리듬, 격투게임은 PC 모드 보다는 게임 모드를 이용하도록 하자. 차이가 크다.

PC, 하드웨어 2023.12.19

Ducky One 3 Fuji

Ducky Shine 5 이후로 다시 구입한 더키 시리즈다. Ducky One 3 Fuji. 여기서 Fuji는 일본의 후지산이 맞다. 분홍색의 프레임과 키캡이 매우 예쁘다. 이번에는 LED 덜어냈고 매크로는 신경쓰지 않으니 마음에 들었던 기능만 살펴본다. Hot-swap을 지원한다. 체리 키보드에서는 요즘에도 타 키에 비해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핫스왑을 지원한다는 점은 굉장히 매력적이었다. Shine 5의 키 교체를 위해 납땜을 하던 수고를 생각하면 유지 보수에는 정말 고마운 기능이다. 추가적인 기능에서 좋았던 점은 Key Switch Functions. 이걸로 DJMAX Respect V 에서의 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 아무래도 소프트웨어 매핑보다는 하드웨어 매핑이 더 좋지 않은가. 살짝 아..

PC, 하드웨어 2023.12.19

Apple Magic Keyboard 눌림 수리

최근 아이패드 매직 키보드 수리 의뢰를 받았다. 증상은 스페이스바가 눌려서 박히는 것. 이 경우 간단한 수리로 해결 할 수 있다. 접점 문제거나 아니면 스테빌을 고정하는 철이 휘었을 것이다. 주의 할 점은 애플 키보드는 일반 펜타그래프 키보드와 다른 점이 있다. 심지어 스페이스바는 좌우로 길고 스테빌도 있기에 더 조심히 분리 해야한다. 그리고 절대 BW-100을 뿌리지 말 것. 캔뱃지 하나를 희생하여 얇은 핀을 얻어냈다. 이걸로 좌우 중앙에 먼저 핀을 넣어주고 좌우로 조금씩 왔다갔다 해주며 키를 분리해준다. 이러면 분리가 되고 그 구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왜 눌렸을까? 여기 스테빌을 고정하는 철이 휘었기 때문이다. 이 부분을 핀셋으로 조금씩 원래대로 맞춰주고 재조립하면 더이상 눌리지 않는..

PC, 하드웨어 2023.12.16

Intel Graphics Driver 30.0.101.1994

외장 그래픽을 이용하는 데스크탑에서는 볼 일이 드물지만 내장을 주로 사용하거나 외장이 있어도 내장을 거치는 방식의 노트북들은 intel 그래픽 센터를 들어가서 모니터 설정을 해줄 일이 많다. 다만 아쉬운 건 그래픽 센터 구버전은 단촐하지만 보여주는 것도 많고 접근이 편한데 신버전은 꾸밈만 가득하고 몇몇 설정도 사라져 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드라이버는 최신을 쓰면서 그래픽 센터는 구버전을 이용하는 방법이 이것이었다. Download Intel Graphics Driver 30.0.101.1994 DCH 64-bit for Windows 10 64 bit, Windows 11 (softpedia.com)

Intel Optane Memory 16GB

2018년이었을 것이다. 그때는 SSD가 금값이라 고등학생에 불과한 필자는 HDD밖에 못 쓰던 시절이었다. 이때 갑자기 HDD의 속도를 비약적으로 높여준다는 상승 옵테인 메모리가 세상에 약을 팔기 시작할 때다. 이런 학생에게 옵테인은 얼마나 매력적인 물건이었을까. 용돈을 털어 16GB라도 샀었다. 노트북 하판을 열고 옵테인을 장착, 당시에는 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했는데 겨우 설정 다 해놓았더니 아쉽게도 보드가 지원하지 않아 쓰지는 못 했다. 그렇게 아쉬움을 뒤로 하고는 나중에 큰 맘 먹고 삼성 970 EVO PLUS 500GB를 샀었다. 세월이 흘러 옵테인이란 게 있었나 될 정도가 되었다. SSD의 가격은 엄청 하락을 거듭했고 HDD에 옵테인을 쓸 이유가 전혀 없어진 시대가 온 것이다. 계속 보관하고..

PC, 하드웨어 2023.12.15

FSP HYDRO PTM PRO 1200W Platinum ATX 3.0 (PCIE5)

(작성 시점에서 거의 반년 전에 샀던 것이지만 그래도 올려본다) 원래는 시소닉 FOCUS PLUS Gold SSR-850FX Full Modular를 쓰고 있었다. 그런데 글카 두장에 13700K 풀로 돌리니까 탁 하고 꺼진 것이다. 그래서 10년은 용량, 성능 걱정 없이 써먹겠을 각오로 골랐던 제품이 FSP HYDRO PTM PRO 1200W Platinum ATX 3.0 (PCIE5). 시소닉 850W를 작게 만들어버리는 이 우람한 크기를 보면 1200W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보인다. 대부분의 ATX 파워는 140mm의 깊이를 갖는 반면 FSP 1200W는 190mm 깊이를 가진다. 그렇기에 케이스와의 호환성을 잘 생각해야 한다. 가장 마음에 들었던 건 포트 수가 많다는 것이다. 마..

PC, 하드웨어 2023.12.15